상제께서 말씀하신 인간의 죄(罪)
교법 1장
31. 한 사람의 품은 원한으로 능히 천지의 기운이 막힐 수 있느니라.
32. 창생이 큰 죄를 지으면 천벌을 받고 적은 죄를 지은 자는 신벌 혹은 인벌을 받느니라.
33. 수운(水雲) 가사에 “난법난도(亂法亂道)하는 사람 날 볼 낯이 무엇인가”라 하였으니 삼가 죄 짓지 말지니라.
34. 악을 악으로 갚는 것은 피로 피를 씻는 것과 같으니라.
36. 죄가 없어도 있는 듯이 잠시라도 방심말고 조심하라.
37. 상제께서 경석이 과거의 잘못을 생각하고 심히 근심하는 것을 아시고 가라사대 “일찍 모든 허물을 낱낱이 생각하여 풀어버리라고 하였는데 어찌 지금까지 남겨 두었느냐. 금후 다시 생각지 말라” 하셨도다.
38. 상제께서 안내성에게 말씀하셨도다. “불의로써 남의 자제를 유인하지 말며 남과 다투지 말며 천한 사람이라 천대하지 말며 남의 보화를 탐내지 말라. 보화라는 글자 속에 낭패라는 패자가 들어 있느니라.”
39. 상제께서 어느 날 부친에게 “일생을 살아오시는 중에 잘못된 일을 빠짐없이 기록하시라” 하시므로 상제의 부친은 낱낱이 기록하여 유칠룡(兪七龍)을 시켜 올리니 상제께서 받고 일일이 보신 후 불사르시며 “이제 잘못된 과거는 다 풀렸으나 짚신을 더 삼아야 한다”고 하시더니 부친은 종전대로 임자(壬子)년까지 八년 간을 신을 삼았도다.
40. 상제께서 정남기의 집에 이르렀을 때 그의 아우가 부모에 대한 불경한 태도를 보시고 그의 죄를 뉘우치게 하시니라. 그 아우가 부친으로부터 꾸중을 듣고 불손하게 대답하고 밖으로 뛰어나갔다가 다시 안으로 들어오려는데 문 앞에서 갑자기 우뚝 서서 움직이지 못하고 땀만 뻘뻘 흘리면서 연달아 소리만 지르니 가족들이 놀라 어찌 할 줄 모르는지라. 상제께서 조금 지나서 그의 아우를 돌아보시고 “어찌 그렇게 곤욕을 보느냐”고 물으시니 그제서야 그의 아우가 몸을 굽히고 정신을 차리는지라. 그 까닭을 가족들이 물으니 그의 아우가 밖으로부터 들어오는 데 갑자기 정신이 아찔하더니 숨이 막혀 마음대로 통하지 못하였다 하니라. 상제께서 이르시기를 “그 때에 너는 숨이 막히고 답답하여 견디기 어려웠으리라” 하시며 크게 꾸짖어 가라사대 “네가 부친에게 불경한 태도를 취했을 때 부모의 가슴은 어떠하였겠느냐 너의 죄를 깨닫고 다시는 그런 말을 함부로 하지 말지니라”고 일러주셨도다.
41. 상제께서 장익모(張益模)의 집에 가셨을 때 그가 자기 어린 아들을 지극히 귀여워하는 것을 보시고 그에게 교훈하시기를 “복은 위로부터 내려오는 것이오. 아래로부터 올라오는 것이 아니니 사람의 도의로서 부모를 잘 공양하라” 하셨도다.
42. 상제께서 박공우가 아내와 다투고 구릿골을 찾아왔기에 별안간 꾸짖으시기를 “나는 독하면 천하의 독을 다 가졌고 선하면 천하의 선을 다 가졌노라. 네가 어찌 내 앞에 있으면서 그런 참되지 못한 행위를 하느뇨. 이제 천지신명이 운수자리를 찾아서 각 사람과 각 가정을 드나들면서 기국을 시험하리라. 성질이 너그럽지 못하여 가정에 화기를 잃으면 신명들이 비웃고 큰 일을 맡기지 못할 기국이라 하여 서로 이끌고 떠나가리니 일에 뜻하는 자가 한시라도 어찌 감히 생각을 소홀히 하리오” 하셨도다.
51. 유부녀를 범하는 것은 천지의 근원을 어긋침이니 죄가 워낙 크므로 내가 관여치 않노라.
註) 상제께서 가정을 천지의 근원이라 하셨습니다. 사람의 몸에도 세포가 기본단위인데 그 세포가 변이를 일으켜 이상 분열하는 것이 암입니다. 이렇게 사람의 병중에서도 세포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 가장 치명적인 병이 되듯이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정을 파괴하는 것은 천지의 근원을 어그러뜨리는 천지의 용납 못 할 대죄로 됩니다. 그리하여 그 죄가 워낙 크므로 하느님의 크신 사랑으로도 어찌할 수 없다하셨습니다. 교화에서 "가정화목"을 수위에 두어야함이 여기에 있습니다.
57. 남을 속이지 말 것이니 비록 성냥갑이라도 다 쓴 뒤에는 빈 갑을 반드시 깨어서 버려야 하느니라.
註) 원원한 우주의 법칙이 알고 행한 잘못은 알고 받고 모르고 행한 잘못은 모르고 받습니다. 알면서 의식적으로 남을 속여서는 안 되는 것은 물론이러니와 무의식적으로도 남을 속여서는 안됩니다. 내가 무심코 버린 빈 성냥갑을 누군가 주워서 빈 성냥갑을 열어보고는 실망을 느끼는 것 또한 남을 속이는 것으로 되는 것이니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특정 다수에 대해서도 속이지 않기 위해서는 성냥갑을 깨어서 버리는 것이 올바릅니다.
58. 죄 중에 노름의 죄가 크나니라. 다른 죄는 혼자 범하는 것이로되 노름 죄는 남까지 끌어들이고 또 서로 속이지 않고는 목적을 이루지 못하는 까닭이니라.
교법 3장
21. 죄는 남의 천륜을 끊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나니 최익현이 고종(高宗)부자의 천륜을 끊었음으로 죽어서 나에게 하소연하는 것을 볼지어다.
34. 상제께서 종도들에게 가라사대 “선천에서는 상극지리가 인간과 사물을 지배하였으므로 도수가 그릇되어 제자가 선생을 해하는 하극상(下克上)의 일이 있었으나 이후로는 강륜(綱倫)이 나타나게 되므로 그런 불의를 감행하지 못할 것이니라. 그런 짓을 감행하는 자에게 배사률(背師律)의 벌이 있으리라” 하셨도다.
교운 1장
9. 상제께서 어느 날 김형렬에게 가라사대 “서양인 이마두(利瑪竇)가 동양에 와서 지상천국을 세우려 하였으되 오랫동안 뿌리를 박은 유교의 폐습으로 쉽사리 개혁할 수 없어 그 뜻을 이루지 못하였도다. 다만 천상과 지하의 경계를 개방하여 제각기의 지역을 굳게 지켜 서로 넘나들지 못하던 신명을 서로 왕래케 하고 그가 사후에 동양의 문명신(文明神)을 거느리고 서양에 가서 문운(文運)을 열었느니라. 이로부터 지하신은 천상의 모든 묘법을 본받아 인세에 그것을 베풀었노라. 서양의 모든 문물은 천국의 모형을 본뜬 것이라.” 이르시고 “그 문명은 물질에 치우쳐서 도리어 인류의 교만을 조장하고 마침내 천리를 흔들고 자연을 정복하려는 데서 모든 죄악을 끊임없이 저질러 신도의 권위를 떨어뜨렸으므로 천도와 인사의 상도가 어겨지고 삼계가 혼란하여 도의 근원이 끊어지게 되니 원시의 모든 신성과 불과 보살이 회집하여 인류와 신명계의 이 겁액을 구천에 하소연하므로 내가 서양(西洋) 대법국(大法國) 천계탑(天啓塔)에 내려와 천하를 대순(大巡)하다가 이 동토(東土)에 그쳐 모악산(母岳山) 금산사(金山寺) 삼층전(三層殿) 미륵금불(彌勒金佛)에 이르러 三十년을 지내다가 최제우(崔濟愚)에게 제세대도(濟世大道)를 계시하였으되 제우가 능히 유교의 전헌을 넘어 대도의 참 뜻을 밝히지 못하므로 갑자년(甲子年)에 드디어 천명과 신교(神敎)를 거두고 신미년(辛未年)에 강세하였노라”고 말씀하셨도다.
註) "자연을 정복하려는 데서 모든 죄악을 끊임없이 저질러" 신도의 권위를 무시하는 것은 인류의 죄입니다. 하늘을 공경하지 않고 어머니 지구를 능멸하는 것은 천지의 자식된 도리를 저버리는 것입니다. 인류의 생존을 위한 모든 질료는 어머니 지구로부터 옵니다. 어머니 지구를 아끼고 사랑하여 공동 번영의 길을 찾는 대신에 지구의 피(석유)를 뽑고 지구의 뼈(광물)를 깍고 피부(산림)를 훠손하는 것은 물질문명에 치우친 인류의 죄악입니다.
오늘날 인륜과 도덕을 바로 세우고 성(誠)경(敬)신(信)을 다하여 천지의 은혜에 보답하며,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고 지구환경과 동식물을 보호하는 것은 지구인류의 생존여부를 가름하는 중대한 일입니다.
23. 김덕찬이 상제를 대함에 항상 거만하나 상제께서는 개의치 않으시고 도리어 덕찬을 우대하시더니 하루는 여러 사람이 있는 데서 공사를 행하실 때 크게 우뢰와 번개를 발하니 덕찬이 두려워하여 그 자리를 피하려 하니 꾸짖어 말씀하시기를 “네가 죄 없거늘 어찌 두려워하느뇨” 덕찬이 더욱 황겁하여 벌벌 떨고 땀을 흘리면서 어찌 할 바를 모르더니 이후에는 상제를 천신과 같이 공경하고 받들었도다.
註) 인간에게 가장 큰 죄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하느님을 공경하지 않는 것입니다.
행록 1장
38. 어느 때인지 분명치 않으나 상제께서 이런 말씀을 하신 때가 있느니라.“고부에 나보다 항렬이 높은 친족들이 계시는도다. 내가 그들을 대할 때에 반드시 항렬을 좇아 말하게 되느니라 .이것이 윤리상 전통이라. 무슨 관계가 있으리오만 모든 신명은 그들의 불경한 언사를 옳지 않게 여기고 반드시 죄로 인정하느니라. 나는 이것을 어렵게 생각하여 친족과의 왕래를 적게 하느니라” 하셨도다.
행록 3장
36. 상제께서 이곳에서 형렬을 만나 그를 데리고 한산(韓山) 객주집에 좌정하시고 원일을 부르셨도다. 상제께서 원일에게 “술을 가져오라. 내가 오늘 벽력을 쓰리라” 하시니 그는 말씀에 좇아 술을 올렸더니 상제께서 잔을 받으시고 한참 동안 계시다가 술을 드시니 여태까지 맑았던 날씨가 갑자기 음풍이 일어나고 폭우가 쏟아지며 벽력이 크게 일어나니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태인에 유숙하는 사람이 많았도다. 상제께서 이 일에 대하여 형렬과 원일에게 설명하시기를 “내가 이제 아침에 객망리 주막 앞을 지날 때에 한 소부가 길가의 풀에 내린 이슬을 떨며 지나가기에 그 연유를 물으니 그 소부가 친정의 부음을 듣고 가노라 하더라. 조금 후에 그 뒤를 한 노구가 지팡이를 짚고 가며 소부의 자취를 묻는도다. 내가 그 연유를 따져 물었더니 그 노구가 ‘앞에 간 소부는 나의 며느리이나 가운이 불행하여 어제 밤에 자식을 잃었는데 며느리가 장사를 치르기 전에 오늘 새벽에 도망갔나이다. 며느리는 저희끼리 좋아서 정한 작배이니다’고 대답하더라”고 말씀하시고 이어서 그들에게 “대저 부모가 정하여 준 배필은 인연이오. 저희끼리 작배한 것은 천연이라. 천연을 무시하여 인도를 패하려 하니 어찌 천노를 받지 아니하랴. 그러므로 오늘 내가 벽력으로써 응징하였노라”고 하셨도다. 그 며느리는 벽력에 죽었노라고 전하는도다.
행록 1장
19. 상제께서 송광사(松廣寺)에 계실 때 중들이 상제를 무례하게 대하므로 상제께서 꾸짖으시기를 “산 속에 모여 있는 이 요망한 무리들이 불법을 빙자하고 혹세무민하여 세간에 해독만 끼치고 있는 이 소굴을 뜯어버리리라” 하시고 법당 기둥을 잡아당기시니 한자나 물러나니 그제야 온 중들이 달려와서 백배 사죄 하였도다. 그 뒤에 물러난 법당 기둥을 원상대로 회복하려고 여러 번 수리하였으되 그 기둥은 꼼짝하지 않더라고 전하는도다.
註) 종교인의 혹세무민은 세간에 큰 해독을 끼칩니다.
지금도 송광사의 오른쪽 법당 기둥이 30cm 정도 나와있습니다.
치유-------------------------------------------
교법 1장
1. 상제께서 정미년 정월에 형렬에게 가라사대 “나의 말이 곧 약이라. 말로써 사람의 마음을 위안하기도 하며 말로써 사람의 마음을 거슬리기도 하며 말로써 병든 자를 일으키기도 하며 말로써 죄에 걸린 자를 풀어주기도 하니 이것은 나의 말이 곧 약인 까닭이니라. 충언이 역이로되 이어행(忠言逆耳利於行)이라. 나는 허망한 말을 아니하나니 내 말을 믿으라” 하셨도다.
註) 상제님의 전경 말씀이 병든 인류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약방문이며 처방 약입니다. 충언이 역이로되 이어행(忠言逆耳利於行)이라. 충고의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자신의 수행에는 이로운 법입니다.
교법 2장
55. 지난 선천 영웅시대는 죄로써 먹고 살았으나 후천 성인시대는 선으로써 먹고 살리니 죄로써 먹고 사는 것이 장구하랴, 선으로써 먹고 사는 것이 장구하랴. 이제 후천 중생으로 하여금 선으로써 먹고 살 도수를 짜 놓았도다.
註) 도전님; 남이 어려울 때 도와주는 것을 적선적덕이라 하느니라.
적선적덕을 많이 하면 대복을 받느니라.
후천은 빈 손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복을 지어 가는 것이니라.
교운 2장
15. 도주께서 칠월 보름에 이우형(李右衡)을 앞세우고 금산사에 다녀오시니라. 권태로. 이상우. 박붕래(朴朋來)와 여러 무리들의 앞에서 “오늘 백종일(百種日)이니 인간 백종의 허물을 청산하는 날이니라. 인숙무죄(人孰無罪)요. 개과하면 족하리라”고 분부하시니 그들이 모두 자기의 허물을 개과하기에 힘쓰니라.
註) “인숙무죄(人孰無罪)요. 개과하면 족하리라” 사람이 어찌 죄가 없으리요 지난 과오를 뉘우치면 족하리라.
죄를 짓지 말라-----------------------------------------------
교법 3장
4. 이제 하늘도 뜯어고치고 땅도 뜯어고쳐 물 샐 틈 없이 도수를 짜 놓았으니 제 한도에 돌아 닿는 대로 새 기틀이 열리리라. 또 신명으로 하여금 사람의 뱃속에 출입케 하여 그 체질과 성격을 고쳐 쓰리니 이는 비록 말뚝이라도 기운을 붙이면 쓰임이 되는 연고니라. 오직 어리석고 가난하고 천하고 약한 것을 편이하여 마음과 입과 뜻으로부터 일어나는 모든 죄를 조심하고 남에게 척을 짓지 말라. 부하고 귀하고 지혜롭고 강권을 가진 자는 모두 척에 걸려 콩나물 뽑히듯 하리니 묵은 기운이 채워 있는 곳에 큰 운수를 감당키 어려운 까닭이니라. 부자의 집 마루와 방과 곡간에는 살기와 재앙이 가득 차 있나니라.
註) 도주님께서 인간의 죄란 다른 것이 아니라 “결원(結寃)이 곧 작죄(作罪)라” 원을 맺는 것이 곧 죄를 짓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5. 지금은 신명 시대니 삼가 힘써 닦고 죄를 짓지 말라. 새 기운이 돌아 닥칠 때에 신명들이 불칼을 들고 죄 지은 것을 밝히려 할 때에 죄 지은 자는 정신을 잃으리라.
24. 상제께서 교훈하시기를 “인간은 욕망을 채우지 못하면 분통이 터져 큰 병에 걸리느니라. 이제 먼저 난법을 세우고 그 후에 진법을 내리나니 모든 일을 풀어 각자의 자유의사에 맡기노니 범사에 마음을 바로 하라. 사곡한 것은 모든 죄의 근본이요. 진실은 만복의 근원이 되나니라. 이제 신명으로 하여금 사람에게 임하여 마음에 먹줄을 겨누게 하고 사정의 감정을 번갯불에 붙이리라. 마음을 바로 잡지 못하고 사곡을 행하는 자는 지기가 내릴 때에 심장이 터지고 뼈마디가 퉁겨지리라. 운수야 좋건만 목을 넘어가기가 어려우리라.”
예시
17. 상제께서 하루는 김형렬에게 “삼계 대권을 주재하여 조화로써 천지를 개벽하고 후천 선경(後天仙境)을 열어 고해에 빠진 중생을 널리 건지려 하노라”라고 말씀하시고 또 가라사대 “이제 말세를 당하여 앞으로 무극대운(無極大運)이 열리나니 모든 일에 조심하여 남에게 척을 짓지 말고 죄를 멀리하여 순결한 마음으로 천지공정(天地公庭)에 참여하라”고 이르시고 그에게 신안을 열어주어 신명의 회산과 청령(聽令)을 참관케 하셨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