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게시물

접속자(566)

사이트맵

     姜甑山
     趙鼎山
     朴牛堂
     大巡眞理會
     청계탑
     一覺文
     벽화이야기
     一字千金
     典經
     中和經
     古典의 향기
     우리시대의 인생관
一覺文
HOME > 道 > 一覺文
웹후기
총 게시물 33건, 최근 0 건
   
도(道)가 어디에 있는가
글쓴이 : 운영자 날짜 : 2013-05-29 (수) 00:33 조회 : 1628

도(道)가

어디에 있는가⋅

 

 

 

글 교무부

 

  부처님께서 어떤 사문에게 물었습니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는가⋅”

사문이 대답했습니다.

“며칠 사이에 있습니다.”

“자네는 아직 도를 모른다.”

부처님께서 다시 한 사문에게 물었습니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사이에 있느냐⋅”

“밥 먹는 사이에 있습니다.”

“자네도 아직 도를 모른다.”

부처님께서 다시 한 사문에게 물었습니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동안에 있느냐⋅”

“숨을 내쉬고 들이쉬는 사이에 있습니다.”

“옳도다. 그대는 도를 아는구나.”

사람은 태어난 이후부터 평생을 호흡하며 삽니다. 사람이 음식을 며칠간 먹지 못해도 생명에는 크게 지장은 없습니다. 또 하루, 이틀 물을 못 마셔도 목숨이 위태롭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단 10분만이라도 호흡을 못하면 사람은 살 수 없습니다. 부처님은 사람의 목숨이 숨을 쉬고 내쉬는 사이에 있는 것이 맞다 하시며 이 안에 도(道)의 이치가 있음을 밝히셨습니다. 일호(一呼), 일흡(一吸)에 음양의 이치가 있습니다. 『전경』에 “생살(生殺)의 이치는 음양에 있고 사람이 음양을 쓸 수 있는 이후에 인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셨습니다.01 이 세상 모든 것이 음양이 아닌 것이 없습니다. 마음에도 선한 마음과 악한 마음이 있는데 이것을 음양으로 볼 때 선한 것은 스승으로 삼고 악한 것은 고쳐 나갈 때 진정한 나를 찾는 이치가 있고 도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때때로 호흡을 깊이 의식하며 나의 마음을 성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정성이란 호흡과 같은 것이니 상제님을 받드는 마음을 자나깨나 잊지 않고 틈과 쉼이 없이 성 ⋅ 경 ⋅ 신을 다하여야 하겠습니다.

 

 

참고문헌

멜 톤슨 저, 장순용 역, 『불교의 지혜』, 가람기획, 2002.

 

01 生殺之道 在於陰陽 人可用陰陽然後 方可謂人生也. (제생 43절)

 

 


스타일
굴림
10pt
<html> <body>
 
 
 
 
   

총 게시물 33건, 최근 0 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8  박상길과 박서방 운영자 05-29 1757 0
17  상생의 길 운영자 05-29 1445 0
16  금덩어리보다는 그 손가락을 주시오 운영자 05-29 1488 0
15  위대한 상인의 비결 운영자 05-29 1712 0
14  도(道)가 어디에 있는가 운영자 05-29 1629 0
13  잃어버린 아들 운영자 05-29 1637 0
12  엿장수 이야기 운영자 05-29 1609 0
11  좋아, 좋아, 아주 좋아 +1 운영자 05-29 2407 0
10  나는 누구일까 운영자 05-29 1937 0
9  미운 아기 오리 운영자 05-29 1835 0
8  풍덩 운영자 05-29 1519 0
7  성공의 비결 운영자 05-29 1751 0
6  우물에 빠진 당나귀 운영자 05-29 1699 0
5  어느 이발소 아저씨의 좌우명 운영자 05-29 1780 0
4  졸재기 (拙齋記) 운영자 05-29 1611 0
처음  1  2  3  맨끝
무료야동
이용약관 개인 정보 취급방침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사이트맵

    위로

Copyright ⓒ 2006 Hiramid Academy All rights reserved.